top of page
7-1. 메인이미지.JPG

콘텐츠의 새 차원을 연 케이팝 데몬 헌터스

세계가 만든 K-POP의 확장

한국문화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이하 케데헌)’가 넷플릭스에 공개된 지 두 달이 지났지만, 인기는 여전하다. 6월 20일에 공개된 이 영화는 누적 시청 수 1억 8,460만 회(View)를 기록했다. 넷플릭스 영화 역대 2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수록곡인 ‘골든(Golden)’은 미국 빌보드 핫(HOT) 100과 영국 오피셜 톱(TOP) 100 정상을 차지했다. 온라인에서는 케데헌 세계관을 분석하고 캐릭터들의 춤과 노래를 따라 하는 영상이 줄을 잇고 있다.

세계는 지금, ‘케데헌 신드롬’

이 영화는 가상의 K-POP 걸그룹 ‘헌트릭스’가 밤이 되면 사냥꾼으로 변신해 춤과 노래로 세계를 위협하는 악귀를 물리치는 이야기다. 판타지 애니메이션답게 처음에는 어린이 관객이 흥행을 주도했지만, 부모 세대까지 입소문을 타면서 케데헌은 세대를 초월한 히트작이 되었다. 세대를 초월한 문화 현상, ‘케데헌 신드롬’이 탄생한 것이다.

7-2. 무속 신앙을 입힌 가상의 K-POP 아이돌.JPG

< 무속 신앙을 입힌 K-POP 아이돌 (출처=넷플릭스) >

무속에서 K-POP까지, 한국 정서를 입힌 ‘케데헌’

케데헌’은 장면 곳곳에 한국의 정서를 세밀하게 담아냈다. 한글 간판이 늘어선 골목, 컵라면과 새우깡이 진열된 편의점, 주인공들이 즐겨 찾는 국밥집까지, 서울의 풍경을 그대로 가져왔다. 극 중 중요한 장면에는 무속신앙이 서사의 중심 장치로 작용한다. 가령, 악령 그룹인 ‘사자 보이즈’가 검은 한복과 갓을 착용한 것은 저승사자를 연상시키고 이들과 맞서 싸우는 주인공들이 착용한 노리개는 영적인 무기로 활용된다. 또한 민화에서 악귀를 물리치는 수호령으로 등장하는 호랑이를 ‘더피’라는 귀엽고 친근한 캐릭터로 재해석하여, 한국 민화 특유의 해학을 현대적으로 구현했다. 이처럼 한국 전통 문화의 상징들이 K-POP 무대의 화려함과 이질감 없이 어우러진 점은 전 세계 관객에게 낯설지만 신선함으로 다가왔다. 캐릭터의 이름 역시 한국식으로 설정했고, 이들이 부르는 노래는 한국어 가사와 한국 아티스트들의 목소리로 채웠다. 이는 언어적 정체성과 음악적 뿌리가 ‘한국’에 있음을 명시한다.

7-3. 민화 속 호랑이를 '더피'로 캐릭터화.JPG

< 민화 속 호랑이를 ‘더피’로 캐릭터화 (출처=넷플릭스) >

과연 ‘K-콘텐츠’ 맞나

그렇다면 한국의 문화 코드와 감성을 집대성한 ‘케데헌’은 K-콘텐츠로 볼 수 있을까? 이 영화는 소니픽쳐스가 제작하고 넷플릭스가 배급했다. 한국적인 소재들을 원천으로 활용하되, 이를 콘텐츠로 완성하고 시장에 선보인 것은 외국 자본이었다. 마치 ‘쿵푸팬더’가 중국의 무술, 철학, 풍경 등을 소재로 삼았지만 중국이 아닌 할리우드 제작사 드림웍스 작품인 것처럼 말이다. 대한상공회의소가 지난 8월 18일에 발간한 ‘새로운 성장 지식재산권의 산업화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케데헌’의 콘텐츠 가치인 지적재산권(IP)은 최대 1조원에 달한다. ‘케데헌’이 흥행할수록 지적재산권(IP)과 파생되는 부가 수익은 넷플릭스와 소니픽쳐스가 가져갈 전망이다.

7-4. 제 2의 케데헌을 꿈꾸며.JPG

< 제 2의 케데헌을 꿈꾸며 (출처=넷플릭스) >

제 2의 케데헌, 우리가 제작할 수 없을까

‘케데헌’의 성공은 한국은 전 세계가 탐낼 만한 콘텐츠 ‘원석’을 가지고 있음을 증명했다. 하지만 동시에 이를 발굴하고 제작하여 유통할 수 있는 인프라와 투자가 미비하다는 점 또한 보여줬다. 케데헌의 제작비는 약 1,000억 원이 투입된 반면 한국은 100억 원을 넘긴 사례 조차 찾기 힘들다. 한국 애니메이션 콘텐츠는 정부의 지원 정책과 일부 기업의 해외 진출 노력에도 불구하고, 투자 대비 수익이 불투명하다는 이유로 외면 받아왔다. 그 사이 일본은 미아쟈키 하야오를 비롯한 거장의 손에서 독창적 세계관을 만들고, 픽사는 CG기술력을 선보였으며, 미국은 평범한 인물이 시련을 극복하고 성장한다는 스토리텔링으로 시장을 장악했다. 한국 또한 콘텐츠 영감을 주는 나라를 넘어, 원석 IP를 발굴하여 콘텐츠로 제작하고 이를 전 세계로 유통하는 산업 체계를 구축해야한다. ‘우리의 이야기’를 ‘우리가 만든 창작물’로 만들 수 있을 때, 비로소 구멍 뚫린 ‘혼문’을 닫고 콘텐츠 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다. 전 세계가 ‘케더헌’ 열풍에 주목하는 지금이야말로, 체질을 전환할 절호의 기회다.

※ 혼문(魂門) : '영혼의 문'. '케이팝 데몬 헌터스'에서 영혼의 통로를 뜻하는 보호막으로, 인간세계를 악마의 침입으로부터 지키는 결계를 뜻함.

logo_.png
i.png
y.png

고객센터 : 1588-3002(유료), 080-001-3002(무료), SKYLIFE에 가입된 휴대폰에서 114(무료)  |  이메일 : helpdesk@skylife.co.kr

유선 : 평일 09시 ~ 18시 | ※ 고장 A/S 문의 : 09시 ~ 22시(평일/토요일/공휴일)  |  무선 : 평일 09시 ~ 18시 | ※ 일시/분실정지 : 09시 ~ 22시(평일/토요일/공휴일)

주소 : 서울시 마포구 매봉산로 75 DDMC빌딩 8,9층  |  대표이사 : 최영범 ㅣ 사업자등록번호 : 117-81-31120 ㅣ 통신판매번호 : 2013-서울마포-1528

< 매체별 프로그램 제작비 현황(‘20년~’24년). 출처=방통위 >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