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1-3.jpg

2024년 주요 성과 review

2024년을 돌아보고, 2025년을 바라보다

2024년 KT스카이라이프의 주요 성과를 6가지 카테고리에 맞춰 정리했다. 매출/가입자/마케팅/고객만족/신사업/자회사 에서 나타난 각각의 내용을 살펴보고, 2025년의 경영 전략 방향을 소개한다.

1. 2024년 실적/성과 리뷰

1) [매출] 3년 연속 매출 1조 원 돌파, 전체 575만 가입자 달성

KT스카이라이프는  3년 연속 연결 기준 매출 1조 원을 돌파했다. 별도 기준으로 매출 7,063억 원, 영업이익 410억 원을 기록하고, EBITDA 마진율 12.6%로 현금 창출 능력을 입증했다. 스카이라이프는 자회사 HCN과 함께 KT 그룹 내에서 위성방송, 케이블TV라는 유료방송 시장의 두 축을 담당하고 있으며, 연말 기준 575만 가입자를 달성했다.(방송, 인터넷, MVNO 전체 가입자) 또한, 미디어 콘텐츠 자회사 ENA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로 KT 그룹 대표 방송/미디어 계열사로 자리잡았다.

1-1-1.jpg
1-1-2.jpg

< 분기별 전체 가입자, 영업수익 추이 >

2) [가입자] 인터넷과 모바일 가입자 10.5만 순증, 실속형 TPS 상품 기반 결합률 지속 증가

KT스카이라이프는 인터넷과 모바일 가입자 성장에 힘입어 통신서비스 매출이 전년 대비 10.1% 증가한 1,946억 원을 달성했다. sky인터넷 유지가입자 50.1만(+5.4만), sky모바일 유지가입자 42.2만(+5.1만)으로 두 상품 모두 출시 이후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순증하고 있다. 특히, 2024년 4분기 인터넷, 모바일 신규 가입자 중 41%가 결합 상품을 이용하며, 실속형 TPS 사업자로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1-2-1.jpg
1-2-2.jpg

< 분기별 순증 가입자, 결합 가입자 비율 추이 >

3) [마케팅] OTT 친화적, 혁신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 노력

KT스카이라이프는 국내 미디어 콘텐츠 소비 방식 변화에 맞춰 상품과 마케팅 혁신에 도전했다. 넷플릭스, 유튜브, 디즈니+ 등 주요 OTT를 약정 없이 시청할 수 있는 ‘sky All&OTT’ 상품을 출시했고, 신규 가입자의 21%가 가입하는 성과를 보였다. 또한, 2030 세대에게 친숙하게 다가가고자 브랜드를 재정립했다. KT스카이라이프는 10년 만에 BI를 그린 컬러로 개편하고, 상암동 DMC역에 기업 테마 광고를 진행하며 새로운 브랜드를 소개했다.

1-3.jpg

< sky ALL & OTT 상품 출시 >

4) [고객 만족] 고객 접점 혁신으로 서비스 이용 만족도 제고

KT스카이라이프는 고객 접점의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련 시스템을 개선했다. 대표적으로 고객센터 상담 업무에 AI 솔루션을 도입해 고객 대기 시간을 8.5% 단축시키고, 상담사의 생산성을 향상시켰다. 특히 보이스봇 서비스 도입으로 A/S 접수와 같은 단순 상담 업무를 365일, 24시간 응대할 수 있어 고객 편의성이 개선됐다. 또한, 홈페이지와 앱에 사용되는 언어를 고객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표현으로 변경해 고객 소통을 강화했다.

1-4.jpg

< ‘AI 상담사 뭉대리’의 서비스 화면 >

5) [신사업] AI스포츠 신규사업 : 아마추어 스포츠 중계 시장 선점

2024년 KT스카이라이프는 AI 스포츠 중계 사업에 투자를 단행하고 전담 조직을 구성했다. KT스카이라이프와 (주)호각은 FIFA가 공식 후원하고 아시아 최초로 한국에서 열린 ‘2024 홈리스월드컵’의 전 경기를 전 세계에 생중계해 기술력과 노하우를 인정 받았다. 2025년 상반기 내 AI 카메라와 sky인터넷의 결합 상품을 출시하고, 아마추어 스포츠 중계 시장에 진출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1-5.jpg

< AI 카메라로 촬영·생중계한 ‘2024 홈리스월드컵’ 개막전 화면 >

6) [자회사_skyTV] ENA의 채널 경쟁력 상승, 광고시장 점유율 증가

전반적인 광고시장 침체에도 불구하고 ENA의 채널 경쟁력이 상승하며 매출과 광고수익이 증가했다. 2024년 ENA의 콘텐츠 부문 영업수익은 981억 원, 광고수익은 664억 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11.35%, 9.93% 증가했다. 또한, ‘나는솔로’, ‘강철부대’와 같은 예능이 입소문을 타며 채널 시청률 순위는 2분기 8위까지 달성했다. 그 결과 광고시장 점유율은 최대 6.2%를 달성, 전년 대비 1.2% 상승하는 효과가 있었다. 2025년에도 ‘나는솔로’, ‘언더커버’ 등 예능 콘텐츠에 집중해 드라마 제작 대비 효율적인 콘텐츠 투자로 채널 경쟁력을 지속 확대할 계획이다.

1-6-1.jpg
1-6-2.jpg

< ENA 광고매출 점유율, 채널시청률 순위 추이 >

2. 2025년 경영 전략 방향

전략 방향

'전국 실속형' 제 1의 TPS 사업자 자리매김

슬로건

'Deep Change KT 스카이라이프!'

1) 플랫폼 본연 경쟁력 강화 : IPTV 안정적 론칭, 시장 경쟁력 강화

- IPTV `25년 4월 론칭으로 위성 전송 매체의 한계를 극복, 주력 상품화


- 가성비 추구 고객 대상 타겟 마케팅 추진으로 ‘실속형 TPS 사업자’로 포지셔닝


- 비대면 경로 영업 강화로 영업 구조를 개선하고 시장 경쟁력 확보

2) 수익성 제고 : 비대면 중심 영업 경쟁력 강화, 주요 BM 수익성 개선

- IPTV 상품성 기반 ARPU 향상과 위성 TV 원가 절감


- 연내 sky인터넷 가입자 60만 돌파와 BEP 달성


- 알뜰폰 규제 변화 활용 도매대가 인하와 부가서비스 개선

3) 미래 성장 : AI 스포츠 신사업 성공적 론칭, 시장 선점

- AI스포츠 중계 B2B 상품 론칭(`25년 2분기)으로 아마추어 스포츠 중계 시장 조기 선점

logo_.png
i.png
y.png

고객센터 : 1588-3002(유료), 080-001-3002(무료), SKYLIFE에 가입된 휴대폰에서 114(무료)  |  이메일 : helpdesk@skylife.co.kr

유선 : 평일 09시 ~ 18시 | ※ 고장 A/S 문의 : 09시 ~ 22시(평일/토요일/공휴일)  |  무선 : 평일 09시 ~ 18시 | ※ 일시/분실정지 : 09시 ~ 22시(평일/토요일/공휴일)

주소 : 서울시 마포구 매봉산로 75 DDMC빌딩 8,9층  |  대표이사 : 최영범 ㅣ 사업자등록번호 : 117-81-31120 ㅣ 통신판매번호 : 2013-서울마포-1528

bottom of page